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123만들기
- 한윤정이 이탈리아에 가서 아이스크림을 사먹는데
- 알고리즘
- 17626번
- 맥주마시면서걸어가기
- 16953번
- 5427번
- 타입스크립트
- 1926번
- 토마토
- 14940번
- 5014번
- 1969번
- 백준
- 6593번
- 2503번
- 타입스크립트 프로그래밍
- 20365번
- 1541번
- 7526번
- 13913번
- 풀이
- 자바스크립트
- node.js
- 2422번
- 16439번
- 나이트의이동
- javascript
- 정리
- 20300번
- Today
- Total
Sqsung DevLog
[백준] 1012번: 유기농 배추 (Node.js) 본문
백준에서 1012번: 유기농 배추 (난이도: Silver II) 확인하기
1. 문제
크기가 R×C인 목장이 있고, 목장은 1×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. 각각의 칸에는 비어있거나, 양 또는 늑대가 있다. 양은 이동하지 않고 위치를 지키고 있고, 늑대는 인접한 칸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. 두 칸이 인접하다는 것은 두 칸이 변을 공유하는 경우이다.
목장에 울타리를 설치해 늑대가 양이 있는 칸으로 갈 수 없게 하려고 한다. 늑대는 울타리가 있는 칸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. 울타리를 설치해보자.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.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,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.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. 특히,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,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. 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는 것이다.
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심어 놓았다.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되므로 서로 인접해있는 배추들이 몇 군데에 퍼져있는지 조사하면 총 몇 마리의 지렁이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. 예를 들어 배추밭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최소 5마리의 배추흰지렁이가 필요하다. 0은 배추가 심어져 있지 않은 땅이고, 1은 배추가 심어져 있는 땅을 나타낸다.
1 | 1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
0 | 1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
0 | 0 | 0 | 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0 | 0 | 0 | 1 | 0 | 0 | 0 | 0 | 0 |
0 | 0 | 1 | 1 | 0 | 0 | 0 | 1 | 1 | 1 |
0 | 0 | 0 | 0 | 1 | 0 | 0 | 1 | 1 | 1 |
1-1. 입력
첫째 줄에 목장의 크기 R, C가 주어진다.
둘째 줄부터 R개의 줄에 목장의 상태가 주어진다. '.'는 빈 칸, 'S'는 양, 'W'는 늑대이다.
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(1 ≤ M ≤ 50)과 세로길이 N(1 ≤ N ≤ 50), 그리고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 K(1 ≤ K ≤ 2500)이 주어진다. 그 다음 K줄에는 배추의 위치 X(0 ≤ X ≤ M-1), Y(0 ≤ Y ≤ N-1)가 주어진다. 두 배추의 위치가 같은 경우는 없다.
1-2. 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필요한 최소의 배추흰지렁이 마리 수를 출력한다.
2. 풀이
const [N, ...input] = require('fs').readFileSync('/dev/stdin').toString().trim().split('\n');
const dirs = [
[0, 1],
[0, -1],
[-1, 0],
[1, 0],
];
const farms = [];
let TC = +N;
(() => {
while (TC--) {
const [X, Y, CabbageCount] = input
.splice(0, 1)
.join('')
.split(' ')
.map(val => +val);
const organizedFarm = Array.from({ length: Y });
for (let i = 0; i < Y; i++) {
const array = new Array(X).fill(0);
organizedFarm[i] = array;
}
const farmInfo = input.splice(0, CabbageCount);
farmInfo.forEach(info => {
const [x, y] = info.split(' ').map(val => +val);
organizedFarm[y][x] = 1;
});
farms.push({ info: [X, Y, CabbageCount], organizedFarm });
}
})();
const bfsSearch = (farm, x, y) => {
const { info, organizedFarm: f } = farm;
const [X, Y, _] = info;
const queue = [[x, y]];
while (queue.length) {
const [x, y] = queue.shift();
if (!f[y][x]) continue;
f[y][x] = 0;
for (let i = 0; i < dirs.length; i++) {
const xPos = x + dirs[i][0];
const yPos = y + dirs[i][1];
if (xPos < 0 || yPos < 0 || xPos >= X || yPos >= Y) continue;
if (f[yPos][xPos]) queue.push([xPos, yPos]);
}
}
};
const getMinimumWorms = farm => {
let worms = 0;
const { organizedFarm: f } = farm;
for (let y = 0; y < f.length; y++) {
for (let x = 0; x < f[y].length; x++) {
if (!f[y][x]) continue;
bfsSearch(farm, x, y);
worms += 1;
}
}
return worms;
};
let answer = [];
farms.forEach(farm => {
answer.push(getMinimumWorms(farm));
});
console.log(answer.join('\n'));
2-1. 접근 방식
TC가 여러 개 있을 수 있으므로 입력 값으로 받은 정보를 사용하기 편하게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.
'Farms' 라는 배열을 생성하고, 즉시 실행 함수로 각 TC별로 정보(가로/세로 길이와 배추의 수)와 배추밭 정보를 저장해둔 객체를 만들어 push해줬다.
이후 각 배추밭(farm)을 BFS 탐색하며 배추(1)가 나올 때마다 지렁이 수(worms)를 1씩 올리고, 인접한 배추를 확인하며 확인된 배추는 0으로 바꿔줬다.
2-2. 회고
- 첫 제출에서는 각 지렁이 수를 answer 변수에 쉽게 담기 위해 문자열 타입으로 관리했다. 하지만 숫자 타입 대신 문자열 타입의 값을 반환하면 백준에서 런타임 에러(TypeError)가 뜬다.
- 요즘 그래프 탐색 유형 문제를 많이 풀고 있는데, 개인적으로 BFS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 문제이다.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021번: 회전하는 큐 (Node.js) (1) | 2023.05.17 |
---|---|
[백준] 16918번: 봄버맨 (Node.js) (0) | 2023.05.17 |
[백준] 16956번: 늑대와 양 (Node.js) (2) | 2023.05.16 |
[백준] 2504번: 괄호의 값 (Node.js) (1) | 2023.05.15 |
[백준] 10799번: 쇠막대기 (Node.js) (4) | 2023.05.15 |